취미/NAS2011. 2. 20. 23:29

TS-210 초기 세팅이 완료 되었다면 외부에서 접속하기를 다시 세팅해야 합니다.
웬만하면 공유기를 거쳐 NAS를 설치 하였을 것입니다.
일단은 제 공유기인 Iptime을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공유기세팅으로 들어가면 아래와 같습니다.
포트포워드 설정에서 아래와 같이 세팅하고 추가를 클릭 하신다음 윗부분의 설정저장을 누르시면 됩니다.


포트포워딩은 외부에서 접속을 할 때, 내부에서 접속되어 있는 많은 장치중에 특정 장치로 접속을 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공유기에 4대의 컴퓨터와 NAS 서버가 있을 때,
외부에서 접속을 하였을 때, 어디로 접속을 할지 공유기에서 지정을 해 주는 기능을 합니다.
물론 본인의 컴퓨터를 지정 할 수도 있습니다. ( 이것을 이용해서 FTP 서버를 구성하고 파일 공유를 하기도 합니다. )
지금은 NAS 설치를 위한 것이므로 아까 할당 받은 NAS IP를 지정하여 NAS로 접속이 될 수 있도록 합니다.
포트 포워딩에 관한 것은 인터넷에서 찾아보시면 더욱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다음은 DDNS 설정 입니다.

DDNS를 설정하지 않고
아래 보이는 사진에서 외부 IP 주소를 직접 주소창에 적고 :777 만 붙이면 외부에서 NAS 접속이 가능합니다.
:777은 위에서 설정한 포트 입니다. 777포트로 들어오는 것은 공유기가 알아서 NAS로 연결시켜주는 것입니다
단순히 외부 IP만 적으면 Iptime 공유기 세팅으로 접속이 됩니다.
이것 역시 포트포워딩을 통해서 바꿀수는 있습니다.

이러한 IP를 우리가 흔히 쓰는 문자주소방식으로 바꾸어 주는 것이 DNS 입니다. 물론 다른 기능도 있습니다.
유동아아피를 고정아이피로 바꾸어 주는 것을 DDNS라고 하구요
DDNS를 쓰는 이유는 인터넷 공급회사(KT, LGU+, SK 등등)이 주소를 주기적으로 바꾸기 때문입니다.
주기적으로 바꾸는지 안바꾸는지는 모르지만 바뀔때가 있습니다.

이렇게 될 경우 외부에서 접속이 불가능해 집니다. 외부 IP 주소 자체가 바뀌어 버리기에 그 주소를 알기 전까지는
접속을 할 수가 없습니다. 이런 것을 해결하기 위함입니다.
DDNS를 제공하는 회사는 몇몇곳이 있지만 저는 https://www.dyndns.com/ 를 이용합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회사라고 하더군요. 물론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무료 입니다.
그렇지만 자신만의 www.어쩌고저쩌고.co.kr 등을 이용하려면 돈을 내야 합니다.

dyndns 사용법은 검색하시면 많이 있으니 생략하구.
어째든 세팅하고 아래와 같이 자신의 현재 외부IP를 아래에 적어넣어주면 됩니다.



등록이 완료되면 다시 공유기 세팅으로 들어갑니다.
아래 사진과 같이 DDNS 세팅으로 들어가서 세팅을 해 줍니다.
공유기는 DDNS에 주기적으로 신호를 쏴줍니다.
DDNS는 신호를 받다가 IP가 변경이 되면 변경된 IP로 주소를 바꿔주게 됩니다.
그러므로 주소창에 제 NAS 접속 주소인
http://-------------------------:777
만 입력하면 IP가 변경이 되더라도 접속이 가능하게 됩니다.
공유기 중에는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있는데, 이건 넉넉하기 잡아주시면 됩니다.
보통 2-3일정도 간격으로 잡으면 될 겁니다.
유동 IP라고 해도 바뀌는 일은 많이 없다고 하더군요

invalid-file



이렇게 해서 일단 NAS 외부 접속하기 세팅도 끝이 났습니다.

이제 이것을 응용해서 홈페이지도 만들고
이것저것 할 수가 있습니다.









Posted by DiveStory